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m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m는 대한민국 강릉 아이스 아레나에서 열린 쇼트트랙 경기이다. 총 32명의 선수가 출전하여 예선, 준준결승, 준결승을 거쳐 결승 A, B 경기를 치렀다. 결승 A에서는 우다징(중국)이 39.584초로 세계 신기록과 올림픽 신기록을 동시에 세우며 금메달을, 황대헌(대한민국)이 은메달, 임효준(대한민국)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3000m 계주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3000m 계주에서 대한민국 대표팀(심석희, 최민정, 김아랑, 김예진)이 금메달, 이탈리아 대표팀이 은메달, 네덜란드 대표팀이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준결승에서는 대한민국과 중국이 올림픽 기록을, 파이널 B에서는 네덜란드가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 -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000m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000m는 강릉 아이스 아레나에서 열려 캐나다의 사뮈엘 지라르가 금메달, 미국의 존헨리 크루거가 은메달, 대한민국의 서이라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18년 동계 올림픽 경기 종목 - 2018년 동계 올림픽 봅슬레이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봅슬레이는 남자 2인승, 남자 4인승, 여자 2인승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독일이 최다 메달을 획득, 대한민국은 남자 4인승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22개국 164명의 선수가 참가, 나이지리아의 첫 동계 올림픽 출전도 있었다. - 2018년 동계 올림픽 경기 종목 - 2018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500m
2018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500m 경기는 2018년 2월 18일에 개최되었으며, 일본의 고다이라 나오가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차지했고, 이상화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 2018년 동계 올림픽에 관한 - 2018년 동계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은 총 22명으로 구성되어 쇼트트랙, 알파인스키, 크로스컨트리, 피겨스케이팅 등의 종목에 참가했으며, 여자 아이스하키는 대한민국과 남북 단일팀으로 출전하여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으나 남북 관계 개선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2018년 동계 올림픽에 관한 - 평창군
평창군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중남부에 위치하며, 84%가 산악 지형인 고랭지대로 밭농사와 고랭지 농업이 주요 산업이고, 온난하계 습윤 기후를 보이며, 동계 올림픽 등 주요 국제 스포츠 대회를 개최한 곳이다.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m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m | |
기본 정보 | |
종류 | 동계 |
연도 | 2018 |
종목 | 쇼트트랙 |
세부 종목 | 남자 500m |
![]() | |
개최국 | 대한민국 |
개최 도시 | 강릉 |
경기장 | 강릉 아이스 아레나 |
개최 기간 | 2월 20일 (예선) |
참가국 | 16 |
참가 선수 | 33 |
메달 획득 | |
금메달 국가 | CHN |
금메달 | 우다징 |
은메달 국가 | KOR |
은메달 | 황대헌 |
동메달 국가 | KOR |
동메달 | 임효준 |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m | |
이전 대회 | 2014 |
다음 대회 | 2022 |
2. 출전권 예선
2017-18 ISU 쇼트트랙 월드컵 기간 동안의 경기 결과에 따른 세계랭킹에 따라 각국에 일정 쿼터가 배정되었다. 한 국가가 받을 수 있는 최대 쿼터수는 그 국가가 계주 경기에 참가하면 남녀당 5쿼터까지, 계주 경기에 참가하지 않으면 3쿼터까지이다. 개최국인 대한민국은 10쿼터를 자동으로 부여받았다.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m 경기는 2018년 2월 22일 대한민국 강릉 아이스 아레나에서 열렸다. 경기 결과, 중화인민공화국의 우다징이 39초 584의 세계 신기록(WR영어)으로 금메달을 차지했으며, 대한민국의 황대헌이 39초 854로 은메달, 대한민국의 임효준이 39초 919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남자 500m 종목에는 총 32명분 쿼터가 배정되었다.
3. 경기 결과
3. 1. 예선
순위 | 조 | 이름 | 국가 | 시간 | 비고 |
---|---|---|---|---|---|
1 | 1 | 우다징 | 40.264 | Q, OR | |
2 | 1 | 바르토시 코놉코 | 41.039 | Q | |
3 | 1 | 앤디 정 | 1:03.137 | ||
4 | 1 | 티보 포코네 | 1:04.756 | ||
1 | 에런 트란 | PEN | |||
1 | 2 | 사뮈엘 지라르 | 40.493 | Q | |
2 | 2 | 로베르츠 즈베이니엑스 | 40.563 | Q | |
3 | 2 | 유리 콘포르톨라 | 40.869 | ||
4 | 2 | 블라디슬라브 비카노브 | 47.177 | ||
1 | 3 | 서이라 | 40.438 | Q | |
2 | 3 | 딜란 후거베르프 | 40.657 | Q | |
3 | 3 | 세바스티앵 르파프 | 40.900 | ||
4 | 3 | 빅토르 크노치 | 1:06.040 | ||
1 | 4 | 임효준 | 40.418 | Q | |
2 | 4 | 단 브레이우스마 | 40.806 | Q | |
3 | 4 | 데니스 니키샤 | 41.436 | ADV | |
4 | 샤를 아믈랭 | PEN | |||
1 | 5 | 런쯔웨이 | 40.294 | Q | |
2 | 5 | 알렉산드르 슐기노프 | 40.585 | Q | |
3 | 5 | 누르베르겐 주마가지예프 | 40.748 | ADV | |
5 | 싱키 크네흐트 | PEN | |||
1 | 6 | 류 사오앙 | 40.526 | Q | |
2 | 6 | 사카즈메 료스케 | 40.658 | Q | |
3 | 6 | 아브잘 아즈갈리예프 | 43.388 | ADV | |
6 | 파벨 시트니코프 | PEN | |||
1 | 7 | 황대헌 | 40.758 | Q | |
2 | 7 | 와타나베 게이타 | 41.678 | Q | |
3 | 7 | 토마스 홍 | 43.096 | ||
7 | 정광범 | PEN | |||
1 | 8 | 류 사오린 샨도르 | 40.650 | Q | |
2 | 8 | 한톈위 | 40.744 | Q | |
3 | 8 | 세묜 옐리스트라토프 | 40.829 | ||
4 | 8 | 존헨리 크루거 | 41.008 |
3. 2. 준준결승
순위 | 조 | 이름 | 국가 | 시간 | 비고 |
---|---|---|---|---|---|
1 | 1 | 런쯔웨이 | 40.032 | Q | |
2 | 1 | 류 사오린 샨도르 | 40.471 | Q | |
3 | 1 | 데니스 니키샤 | 40.806 | ||
4 | 1 | 알렉산드르 슐기노프 | 54.498 | ||
5 | 1 | 바르토시 코놉코 | 1:10.996 | ||
1 | 2 | 우다징 | 39.800 | Q, WR, OR | |
2 | 2 | 황대헌 | 40.861 | Q | |
3 | 2 | 로베르츠 즈베이니엑스 | 40.904 | ||
4 | 2 | 와타나베 게이타 | 41.354 | ||
5 | 2 | 누르베르겐 주마가지예프 | DNF | ||
1 | 3 | 사뮈엘 지라르 | 40.477 | Q | |
2 | 3 | 사카즈메 료스케 | 40.563 | Q | |
3 | 3 | 한톈위 | 1:14.891 | ||
4 | 3 | 서이라 | 1:17.779 | ||
1 | 4 | 임효준 | 40.400 | Q | |
2 | 4 | 단 브레이우스마 | 40.677 | Q | |
3 | 4 | 딜란 후거베르프 | 41.007 | ||
4 | 4 | 아브잘 아즈갈리예프 | 41.616 | ADV | |
4 | 류 사오앙 | PEN |
- '''Q''' – 준결승에 진출
- '''ADV''' – 피반칙으로 진출
- '''PEN''' – 페널티
- '''WR''' – 세계 기록
- '''OR''' – 올림픽 기록
- '''DNF''' - 완료되지 않음
3. 3. 준결승
순위 | 조 | 이름 | 국가 | 시간 | 비고 |
---|---|---|---|---|---|
1 | 1 | 우다징 | 40.087 | QA | |
2 | 1 | 사뮈엘 지라르 | 40.185 | QA | |
3 | 1 | 류 사오린 샨도르 | 40.399 | QB | |
4 | 1 | 단 브레이우스마 | 40.775 | QB | |
5 | 1 | 아브잘 아즈갈리예프 | 40.835 | ||
1 | 2 | 황대헌 | 40.108 | QA | |
2 | 2 | 임효준 | 40.132 | QA | |
3 | 2 | 런쯔웨이 | 40.418 | QB | |
4 | 2 | 사카즈메 료스케 | 40.434 | QB |
- QA – 파이널 A에 진출
- QB – 파이널 B에 진출
3. 4. 파이널 B
순위 | 이름 | 국가 | 시간 | 비고 |
---|---|---|---|---|
5 | 류 사오린 샨도르 | 40.651 | ||
6 | 런쯔웨이 | 40.694 | ||
7 | 단 브레이우스마 | 40.835 | ||
8 | 사카즈메 료스케 | 40.985 |
3. 5. 파이널 A
파이널 A는 20시 15분에 시작하였다.
WR영어은 세계신기록, OR영어은 올림픽 신기록을 의미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